주일, (대)축일 강론
2014.09.06 20:26

2014-9-7-연주 23주일

조회 수 4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제33,7-9; 로마13,8-10; 마태16,21-27)

 

군대에 이런 말이 있다. “작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받을 수 있어도 보초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받을 수 없다.”

똑같은 실수라도 작전의 실패와 보초경계의 실패는 차이가 크다. 즉 작전의 실패는 최선을 다하다가 실패한 것이지만 보초경계의 실패는 그 자체가 나태한 행위에서 비롯되고, 이적행위이기 때문이다.

보초에게는 막중한 책임이 있다. 그 한 사람에 의해서 전체의 생명이 달려 있기 때문이다. 즉 한 보초병의 실수로 단체 전체가 떼죽음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언자들은 일종의 보초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다. 위험이 있을 때 그는 두려움 없이 세상에 알려야한다. 오늘 제1독서에서는 에제키엘이 하느님의 보초로서 소임받은 내용을 전해주고 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충고의 말씀을 들려주시면서 교회의 말조차 듣지 않거든 그를 이방인이나 세리처럼 여기라고 하신다.

누구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고 실수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서로 충고가 필요하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잘 바라보지 못한다. 등잔 밑이 어둡다고 하지 않는가? 자신보다는 옆에 있는 사람의 잘못을 잘 볼 수 있다. 그래서 서로 충고해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고, 또한 나 자신도 남의 충고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여기에 서로 충고를 주고 받음에 있어서 잊어서는 안 되는 법칙이 하나 있다. 그것은 서로 사랑으로 충고하여야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2독서에서 아무리해도 다 할 수 없는 의무가 한 가지 있습니다. 그것은 사랑의 의무입니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라고 사도 바오로는 말씀하고 있다.

충고에 관한 오늘 말씀 전례의 원칙을 정리하면,

첫째로, 충고할 위치에 있는 자가 이웃의 잘못을 보고도 방관한다면 그 잘못에 대해 충고하지 않은 책임을 하느님 앞에 지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로 충고의 순서이다. , 만나서 단 둘이서 그의 잘못을 타일러주고, 그가 말을 들으면 그는 형제 하나를 얻는 셈이다. 그가 만일 그대로 듣지 않는다면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을 더 데리고 가서 그들의 증언을 들어 확정하라고 하신다.

셋째로, 그래도 안 듣거든 교회에 알리고,

넷째로, 교회의 말조차 듣지 않거든 그를 이방인이나 세리처럼 여기라고 하신다. 곧 파문제재를 의미한다.

교회가 이렇게 파문제재까지 가하는 이유는 한 사람의 악 표양이 교회전체에 미치는 악 표양 때문에 더 이상 묵과한다면 공동체 전체에 더 큰 손실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다.

성 아우구스티노는 사랑하라. 그리고 하고 싶은 대로 하여라. 침묵하려거든 사랑으로 침묵하고, 말을 하려거든 사랑으로 하라. 충고하려거든 사랑으로 충고하고 용서하려거든 사랑으로 용서하라. 네 안에 사랑의 뿌리가 자라게 하라. 왜냐하면 이 사랑의 뿌리에서는 선한 것 이외에는 다른 것이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한 바 있다.

교회는 사목자이든 평신도이든 모든 사람들을 위한 유일한 법으로서 사랑이라는 법을 가지고 있는 특별한 자리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만 된다면 주님이 우리에게 약속하신 단 두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서는 나도 함께 있겠다는 그 말씀이 반드시 실현될 것이다.

우리 모두의 행위는 공동체성을 지닌다. 남의 잘못이 나와 무관할 수 없다. 그러기에 너의 잘못에 대해 나도 일말의 책임이 있기에 사랑으로 충고해야하는 것이고, 나도 타인의 우정어린 충고를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우리 서로 서로 스스럼 없이 충고하고 충고를 받아들일 수 있는 좋은 이웃이 되자. 그러면 우리를 바라보는 외인들이 저사람들이야말로 참으로 그리스도의 제자들이다라고 알아볼 것이다.

 

복음나누기 주제

우리는 사랑으로 남에게 충고한 일이 있었는지, 또 남의 우정어린 충고를 어떤 마음으로 받아들였는지 성찰해보고 경험담을 나눕시다.

 

Who's Stephanus

profi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05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4-(31주-수)-루카14,25-35:제자될 자격 Stephanus 2015.11.03
804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3- (31주-화)-루카14,15-24:초대받은 사람과 뽑힌 사람들 Stephanus 2015.11.02
803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1-29-대림 1주일(예레 33,14-16; 데살 3,12-4,2; 루가 21,25-36) Stephanus 2015.11.28
802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8-연중 34주간 토-다니7,15-27; 묵시22,1-7; 루카21,34-36 Stephanus 2015.11.23
801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7-34주간-금-다니7,2-14; 묵시20,1-21,2; 루카21,29-33 Stephanus 2015.11.23
800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6-연중34주간 목-다니6,12-28; 묵시18,1-19,9; 루카21,20-28) Stephanus 2015.11.23
799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5-연중 34주간 수(루카21,12-19)   Stephanus 2015.11.23
798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4-연중 34주간 화(루카21,5-11) Stephanus 2015.11.23
797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3-연중34주간 월(루카21,1-4) Stephanus 2015.11.22
796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1-22- 연중 34주일(그리스도왕 대축일) Stephanus 2015.11.19
795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20-연중33주-금(묵시10,8-11; 루카19,45-48)-성전정화- Stephanus 2015.11.19
794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8-33주-수-루카19,11-28 Stephanus 2015.11.17
793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6-연중33주간 월(루카18,35-43) Stephanus 2015.11.16
792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1-15- 연중 33주일(다니 12,1-3; 히브 10,11-18; 마르 13,24-32; 평신도의 날) Stephanus 2015.11.14
791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4-32주간-토-(루카18,1-8)-중단없는 기도의 효력 Stephanus 2015.11.13
790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3-32주간-금--루카17,26-37: 하느님의 시간과 장소 Stephanus 2015.11.12
789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2- 32주간-목--루카17,20-25: 하느님나라의 도래 Stephanus 2015.11.11
788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1-32주간-수-루카17,11-19: 은혜에 감사할 줄 아는 믿음 Stephanus 2015.11.11
787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1-10-32주간-화--루카17,7-10: 상머슴의 영성 Stephanus 2015.11.09
786 오늘의 복음묵상(평일) 2015-10-9-연중 27주 금(요엘1,13-2,2; 루카11,15-26)-예수님의 적대자들 Stephanus 2015.09.29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20 Next
/ 1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