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님의 세례 축일(이사야 42,1-7; 사도 10,34-38; 루카3,15-22)

 

오늘 주님의 세례축일은 동방박사들의 방문과 가나의 혼인잔치와 함께 주님의 공현 즉, Epipania 중의 하나입니다.

그리스도의 세례는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으로서 세상 안에 드러내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시점이 됩니다. 성탄은 당시 권력자들이나 예루살렘의 종교 지도자들의 관심 밖의 조용한 하나의 사건일 뿐이었습니다. 30년간의 나자렛의 예수님의 삶은 침묵과 은둔의 생활이요,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타인들과 섞여 사는 보통사람으로 길들이셨습니다. 세례전의 예수님의 생애는 우리와 똑 같은 생활이었으니, 주님의 세례는 이러한 예수님의 생활국면을 결론짓습니다. 예수님은 오늘 정화가 필요한 우리와 똑 같은 인간의 모습, 죄인의 영역에 자신을 포함시켜 죄를 씻는 세정예식(洗淨禮式)을 받으십니다.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오신 그리스도는 자비를 베풀어 주시러 오셨습니다.

따라서 주님의 세례가 주는 의미는,

1). 세례를 받아야할 인간들에게 좋은 모범을 보여주시기 위함이고,

2). 우리에게 성부와 성자와 성령과 세례자 요한이 함께 당신을 증명함으로써 당신의 신원을 그려내기 위함이요,

3). 세례자 요한의 세례를 인정하기 위함입니다.

4). 예수님은 요한복음에서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분으로 소개됩니다. 레위기16장의 대속죄일에 백성들은 자신의 죄를 사함 받기 위해 아자젤의 염소를 준비하였습니다. 대사제 아론은 이 염소 머리위에 손을 얹고 백성의 죄를 전가시켜 광야의 아자젤 귀신에게 내보냅니다. 세례자 요한은 아버지 즈카르야의 대를 이어 대사제로 예수님께 세례를 베푸는 동작을 통해 인류의 죄를 그의 머리위에 씌우고 골고타 십자가로 내보내는 속죄예식의 단서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로서 예수님의 세례는 예수님의 생애에 결정적인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게 되는 계기를 만듭니다. 즉 공생활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그리스도는 이제 공적으로 권위를 가지고 말하고 행동하는 메시아로서 세상에 나타나시는 것입니다.

한편 그리스도의 세례는 성령의 작용과 깊은 관련을 맺습니다. 세례자 요한은, 나는 물로써 세례를 베풀지만 그분은 성령의 세례를 베풀 것이다.” 고 말합니다. 성령의 강림은 구원의 길이요, 성령이 모든 기원으로서 물위에 나타나므로 새로운 창조가 시작됨을 가리킵니다.

성령은 이미 성탄을 통해 나자렛 예수 안에 와 계십니다. 즉 성령께서는 마리아 위에 내려오셨던 것입니다. 성령으로 그리스도를 잉태하심으로 성령은 그리스도와 함께 계셨습니다. 그러나 이 때는 침묵 중에 드러나지 않게 계셨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성령의 임재가 세상 만천하에 드러나게 오십니다. 즉 만인이 보는 가운데 비둘기 모양으로 그리스도 위에 내려오십니다.

그리스도의 세례 때에 성부께서는 장엄하게 성자의 신원을 선포하십니다.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야훼의 종(이사 40,2)이 이제 사랑 받는 아들로 선언됩니다. 오늘의 제2독서인 사도행전에서 베드로 사도는,  하느님께서는 그분에게 성령과 능력을 부어 주시고 그분과 함께 계셨습니다.” 고 선언합니다. 성부께서 직접 성자의 신원을 밝혀주시니 예수님은  아빠, 아버지!” 라고 응답하며 이 선언을 시인하십니다. 골고타의 십자가상에서도 아버지께 대한 변함없는 신뢰로서....

우리의 신앙은 예수님의 이러한 신원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즉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아드님이시기 때문에 우리를 구원하실 수 있으십니다. 그분은 당신이 세우신 세례성사로써 우리를 하느님의 자녀의 위치로 격상시켜주셨습니다. 또한 세례성사로서 우리는 그분의 형제가 된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세례는 죄의 노예신분에서 일약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특권에로 도약함을 일깨워주며, 구약시대에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가나안 복지를 들어갈 때 마지막 장애물이었던 그 요르단 강에서 오늘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시는 것도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한 장애물인 죄를 청산하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요한의 물세례가 죄에서의 해방을 의미한다면, 예수님의 성령의 세례는 성령 칠은의 성화은총의 세례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지금 이 은총의 시기를 낭비하지 말고 열심히 준비하여 내 영혼뿐만 아니라 갈 길 몰라 방황하는 많은 영혼들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도록 노력합시다.

 

참된 행복!!!-예수님 세례축일 강론에서-

 

공자님 말씀 중에 조문도, 석사가의”(朝聞道 夕死可矣: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없다.)라는 말이 있다.

 

나를 있게 하신 분이 하느님이심을 알고, 이 하느님이 우리를 얼마나 사랑하시는지, 십자가에 죽어주시기까지 하셨다는, 실로 죽음보다 강한 사랑을 깨닫는 순간, 이보다 더 놀라운 진리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세상에 이보다 더 확실한 진리가 있을까? 이 확신의 정도에 따라 인생의 행복의 크기도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세상이 다 나를 버려도 하느님 사랑에 대한 이 확신만 있다면 나의 행복은 흔들리지 않으리라.

구약시대의 모세나, 엘리야, 이사야 등 모든 예언자도 메시아가 올 것을 알고는 있었어도 메시아를 보지 못하였다. 그 사람들에 비해 우리는 메시아이신 예수님 시대를 살고 있고 그분의 말씀도 듣고 있고, 미사 영성체를 통해 그분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축복을 받았으니 이 얼마나 행복한 시대를 살고 있는가?

또한 영성사의 발달과정을 살펴볼 때, 2000년 동안 하느님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 지소서하고 기도해 왔지만 그 실현을 보지 못한 세대들보다 오늘날 하느님 뜻 영성을 통해 하느님 뜻을 구체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니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가?

필자가 가장 흠모하고 공경하는 성인이 십자가의 성 요한이다. 그런데 최근 묵상을 통해 성인과 대화한다. “이제는 성인이 부럽지 않습니다. 성인은 갈멜의 산길을 걸어서 진땀을 흘려가며 오르셨지만, 저는 예수님의 에스컬레이터(Escalator)를 타고 오르게 되었으니까요.”

 

성인의 말씀은, “그래, 그대가 정말 부럽네. 하지만 성덕은 이론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니 아는 바를 실천해야하네.”

저는 무릎을 꿇고 , 제가 잠시 교만했군요. 무례함을 용서하십시오.”

하느님 뜻 영성을 비유로 묵상해 보면 이렇다.

서울에서 대전까지 간다고 할 때, “내 뜻으로 가는 것을 마치 걸어가는 것에 비유한다면, 하느님 뜻 안에서 예수님과 함께 가는 것은 예수님의 차를 타고 가는 것이라 할 것이다.

옆에 예수님이 앉아계시다고 부자유스럽다고 불평하며 예수님 차에서 내리기를 원한다면, 결국 걸어가거나 뛰어가야만 할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얼마나 힘들고, 시간도 얼마나 많이 걸리겠는가?

그런데 예수님의 차 옆자리에 타고 간다면 예수님 옆에 앉는 영광을 누리며 황홀감에 젖어 늦어도 2시간이면 충분히 간다.

그런데 예수님이 타고 가시는 차가 무슨 차일까? FIAT이다(이태리 자동차회사 이름이 Fiat).-자동차회사의 주보는 아마도 성모님이 아닐까? 성모님이 최초로 Fiat을 발하셨으니까. 이태리 신학생이 어느 날 성모님이 아기 예수님을 잉태하고 엘리사벳을 방문하러 가실 때도 Fiat을 타고 가셨다고 농담한 적이 있었다.

 

-. 예수님의 세례축일을 맞이하여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신 의미를 되새겨보자.

예수님이 세례를 청하니까 세례자 요한이 사양을 한다. 그러자 예수님은 지금은 내가 시키는 대로 하여라.”고 재촉하신다. 세례자 요한의 아버지 즈카르야는 대사제였으며 세습의 관행상 세례자 요한은 아버지로부터 대사제직을 물려받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영원한 대사제인(히브리서) 예수님은 대사제 요한으로부터 안수를 받는 것이 필요하였으리라. 또한 세례자 요한의 세례는 물세례 곧 죄사함의 세례요, 예수님의 세례는 불세례 곧 성령세례인 것이다. 이로써 영원한 생명을 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예수님은 세례수인 요르단 강물을 거룩하게 축성하기 위해 당신이 몸을 담가 세례를 받으셨다.

-. 예수님이 사람이 되어 오신 이유를 새로운 각도에서 음미해볼 수 있다. 구약의 제사는 어린양의 피로 속죄제사를 지냈다. 피는 생명이요 속죄의 효과가 있었다. 피조물인 짐승의 피는 유한하므로 죄지을 때마다 짐승을 잡아 제사를 바쳐야 했다.

그런데 요한 복음사가는 예수님을 어린양으로 표현한다. 속죄양인 어린 양으로 오신 예수님은 당신 피를 흘리심으로써 천주성이라는 영원성의 속성으로 바치는 속죄효과는 영원한 것이므로 단 한번의 제사로 인류의 모든 죄를 다 사하게 되었다.

 

-. 예수님의 이름(聖名)

 

탈출기 3,14에 모세가 하느님께 이름을 묻자, 하느님은 나는 나다”(I am who I am-히브리식 표현으로는 I will be who I will be(앞으로도 늘 너희와 함께 할 나다)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을 보여주고,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내기 위해 오셨다. 예수님은 하느님을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 되어주시는 분으로 나타내고자 하셨다. 요한복음 사가는 이를 일곱(완전수자)가지로 표현한다. I am message).

 

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빵이다.”(6,41)

 

2-. “나는 세상의 빛이다.”(8,12)

 

3-. “나는 양들이 드나드는 문이다.”(10,7)

 

4-. “나는 착한 목자이다.“(10,11)

 

5-.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11,25)

 

6-.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14,6)

 

7-. “나는 포도나무다.”(15,1)

 

결국 예수님은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 되시는 분(Totus Tuus)이시다.

슬퍼하는 이에게는 위로자가 되시고,

앓는 이에게는 의사가 되시고,

굶주린 이에게는 생명의 빵으로 오신 분이요,

상처받은 이에게는 치유자가 되시고,

고독한 이에게는 친구가 되어주시는 분이시다.

.....

이 그리스도가 나를 본 사람은 곧 내 아버지를 본 것이다.”고 하셨다. 예수님은 아버지의 사랑을 전하러 오셨고 그 절정이 십자가 사랑에서 드러났다.

하느님은 당신의 사랑을 쏟아 부어주기 위한 그 하나만의 이유로 사람을 창조하셨다.”(예수님이 루이사에게)

 

아가서는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을 신랑의 신부에 대한 사랑의 비유로 잘 드러내고 있다. “사랑은 죽음처럼 강하고 저승처럼 억센 것, 바닷물로도 끌 수 없고 굽이치는 물살로도 막아내지 못하는 것.”(아가8,6)

-. 하느님은 구세주를 보내기 위해 원죄 없는 마리아를 Fiat으로 준비시켰고,

원죄를 유전적으로 물려받는 우리의 구원을 위해 우리와 같이 원죄를 타고난 피카레타를 준비시켜 하느님 뜻 안에 사는 길을 열어주시고자 하셨다.

그리하여 피카레타가 원죄를 타고난 인류로서는 최초로 하느님 뜻의 나라에 들어가게 하시고 우리도 그를 뒤따라 들어갈 수 있도록 작업하고 계시는 것이다.

-. 어느 수녀님은 예수님과의 대화에서, 예수님은 하느님 뜻의 나라라는 보물단지를 들고 우리 앞에 무릎 꿇고 애원하고 계신다고 한다.

제발, 이것을 받아다오. 그래야 네가 산다. 너는 네 뜻의 독극물(毒劇物)에 중독되어 있으니 어서 이 하느님의 뜻이라는 해독제를 먹고 회복하여라. 또한 이 하느님의 뜻은 보약이요 영생불사약이기도 하다. 제발 받아다오. 내가 이렇게 네 앞에서 애원하고 있단다.”

빌어야할 것은 내편인데 예수님께서 내 앞에서 빌고 계신다니 어쩌면 좋으랴! 이제 더 이상 예수님을 슬프게 해드리지 말자.

-. 세상은 내 뜻이라는 독극물에 중독되어 죽음의 문화에 깊숙이 빠져있다.

하느님으로부터 인간해방을 부르짖고 일어난 르네상스 운동이후(14세기~) 하느님 중심의 문화에서 인간중심문화로 넘어가면서 세상은 하느님을 떠난 삶으로 치닫고 있다. “인간중심, 개성존중, 자유등을 부르짖었으나 "하느님으로부터의 해방"(freedom from God)은 참된 해방이 아니요, 그 결과는 19세기 실존주의로 나타나 하느님을 떠난 인류가 개성상실, 인간성 상실의 참담함을 맛보고 이로부터의 회복을 부르짖게 되었던 것이다.

-. 참된 해방은 "하느님 안에서의 자유"(freedom in God)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탕자가 아버지 집을 떠난 것이 참자유가 아니요 모든 것을 다 상실하고 짐승의 차원으로까지 전락하는 비참함을 체험한 후에야 아버지 집안에서의 품위 회복과 자유를 그리워하며 아버지께 돌아온 것이다.

 

내뜻 중독이라는 죽음의 세상에서 마귀의 종살이의 신세를 벗어나, 내뜻 중독을 해소하는 해독제요 영생불사약인 하느님 뜻을 구하여, 하느님 뜻 안으로 들어가 하느님 자녀요 동시에 상속자가 되어 하느님의 것이 모두 내 것인 백만장자의 나라에 들어가 참 자유를 누리는 삶으로 나아가자.

-. 내뜻의 정체를 이사64,5이제 저희는 모두 부정한 자처럼 되었고, 저희의 의로운 행동이라는 것들도 모두 개짐처럼 더럽습니다.”고 하였다.

-. 그리스도는 신랑으로서 우리를 어린 양의 혼인잔치에 신부로 초대하고자 하신다.(묵시19)

어린 양의 혼인날이 되어 그분의 신부는 몸단장을 끝냈도다.”

이제 하느님 뜻이라는 오필의 금으로 단장한 왕후가 당신 우편에 서있나이다."(45)고 고백하며 오실 신랑을 기다리자.

-. 성경의 마지막 결론인 묵시록 22장에 내가 곧 가겠다.”고 세 번이나(7, 12, 20) 반복하시며 오매불망 신부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시는 우리 모두의 신랑 예수님께 하느님 뜻이라는 오필의 금으로 단장하고, “아멘 오소서, 주 예수님!” 하고 화답하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0 주일, (대)축일 강론 2015-2-19-설 명절(민수 6,22-27; 야고보 4,13-15; 루가 12,35-40) Stephanus 2015.02.18
359 주일, (대)축일 강론 2015-2-18-재의 수요일(요엘2,12-18; 2고린5,20-6,2;마태6,1-18) Stephanus 2015.02.17
358 주일, (대)축일 강론 2015-2-15-연중 6주일(레위13,1-46; 1고린10,31-11,1; 마르1,40-45) Stephanus 2015.02.14
357 주일, (대)축일 강론 2015-2-8-연중5주일(욥7,1-7; 1고린9,16-23; 마르1,29-39) Stephanus 2015.02.07
356 주일, (대)축일 강론 2015-2-2-주님 봉헌 축일(봉헌생활의 날: 2월2일: 말라 3,1-4; 루가 2,22-40) Stephanus 2015.02.01
355 주일, (대)축일 강론 2015-2-1-연중4주일(신명18,15-20; 1고린7,32-35; 마르1,21-28) Stephanus 2015.01.31
354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31-1월 31일 성 요한 보스코 사제 기념 Stephanus 2015.01.30
353 주일, (대)축일 강론 1월 28일-성 토마스 아퀴나스 기념 Stephanus 2015.01.27
352 주일, (대)축일 강론 1월 26일 성 티모테오와 성 티도 축일 Stephanus 2015.01.25
351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25-연중 3주일(요나3,1-5,10; 1고린7,29-31; 마르1,14-20) Stephanus 2015.01.23
350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24-1월 24일 성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학자 기념 Stephanus 2015.01.23
349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18-연중2주일(1사무3,3-19; 1고린6,13-20; 요한1,35-42) Stephanus 2015.01.17
»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11-주님의 세례 축일(이사야 42,1-7; 사도 10,34-38; 루카3,15-22) Stephanus 2015.01.03
347 주일, (대)축일 강론 2015-1-4-주의 공현 대축일(이사60,1-6; 에페3,2-6; 마태2,1-12) Stephanus 2015.01.03
346 주일, (대)축일 강론 2015년 1월 1일(천주의 모친 성마리아 대축일:평화의 날) Stephanus 2014.12.31
345 주일, (대)축일 강론 12월 31일 송년 감사미사(성찰과 묵상) Stephanus 2014.12.30
344 주일, (대)축일 강론 12월 30일-성탄팔부 제6일-요한1서2,12-17; 루카2,36-40 Stephanus 2014.12.29
343 주일, (대)축일 강론 12-29-성탄8부 5일(루카2,22-35) Stephanus 2014.12.28
342 주일, (대)축일 강론 B-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축일(집회3,3-17; 골로3,12-21; 루가2,22-40) Stephanus 2014.12.26
341 주일, (대)축일 강론 12월 27일 사도 성 요한 축일 Stephanus 2014.12.25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XE Login